★ 휴대폰 → 맨아래 "pc화면" 보기로 하셔요 / ♥ 상담시 "매물번호" 를 주셔요 / ☞ "매물검색"란에 "급매,분양,농지원부,양봉"등 단어입력 하셔도 좋아요
박언영
054-533-2269
010-4085-7844
오늘 3,297
전체 1,954,025
가장동 개운동 거동동 계산동 낙상동 낙양동 남성동 남장동 남적동 냉림동 도남동 만산동 무양동 병성동 복룡동 부원동 서곡동 서문동 서성동 성동동 성하동 신봉동 양촌동 연원동 오대동 외답동 인봉동 인평동 죽전동 중덕동 지천동 초산동 헌신동 화개동 화산동 흥각동
작성일 : 17-06-01 22:01
제목 땅값 1년새 5.3% 급등…상승폭 9년만에 최대
작성자 박언영 휴대전화


땅값 1년새 5.3% 급등…상승폭 9년만에 최대

연남동 1612㎡땅 稅부담 1년새 19% 껑충




전국 땅값이 1년 새 5% 이상 급등하며 9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제주·부산·세종 등 개발 호재가 많은 지역이 상승을 주도했다. 토지 소유주 입장에선 자산가치 상승이 반갑지만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부담도 나란히 늘어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전국 개별공시지가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 기준 전국 땅값은 지난해 1월 1일보다 평균 5.34% 올랐다.

이는 지난해(5.08%)와 2015년(4.63%)보다 높은 상승률로 2008년(11.6%)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다.

2017년 개별공시지가 통계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공동주택(아파트)이나 단독주택보다 토지가 더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는 점이다.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발표한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살펴보면 올해 1월 1일 기준 전국 아파트 공시가격은 지난해 대비 4.44% 상승해 공시지가(5.34%)보다 상승률이 낮았다. 개별 단독주택 공시가격 상승률도 4.39%로 토지보다 낮았다.

토지는 아파트보다 변동성은 낮고 활황기 상승률은 높은 경향을 보인다. 부동산 경기가 이상 급등하던 2008년 전국 공시지가 상승률은 평균 10.05%에 달했다. 반면 아파트 상승률은 2.4%에 불과했다. 이듬해 금융위기 여파로 아파트는 4.61% 떨어졌지만 토지는 0.81% 하락했다.

이후로도 아파트는 변동률 -4~4% 사이를 오가며 들쑥날쑥했지만 토지는 3%대 안팎으로 안정적으로 상승했고 2013년 이후 꾸준히 오폭을 확대했다. 결과적으로 2008년부터 올해까지 전국 아파트 공시가격이 17.7% 오르는 동안 개별공시지가는 50.2% 올랐다.

아파트보다 토지가 더 오르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건물은 감가상각을 통해 소멸되는 유한한 상품인 반면 토지는 주택이라는 상품을 담아낼 수 있는 원자재 성격이 강하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집값은 수급에 따라 움직이지만 토지는 공급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없어 상대적으로 희소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정부의 공시지가 현실화 의지도 작용했다. 공시가격은 각종 보유세 부과 기준이 되는데, 토지와 단독주택은 아파트에 비해 실거래가와 공시가격 격차가 커 자산가의 세금 부담을 낮춰 준다는 비판 여론이 꾸준히 제기됐다.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도 공시가격 현실화를 공약으로 내건 바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시지가 현실화도 중요하지만 갑자기 세금이 늘어나면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공시지가를 올리는 추세"라고 전했다.

공시지가가 올랐으니 토지 소유자들 세금 부담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매일경제신문이 국토부와 우리은행 WM자문센터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공시지가가 3.3㎡당 2억8380만원으로 가장 비싼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매장은 올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건물 제외분)로 총 5342만원을 내야 한다. 이는 지난해보다 4.7% 늘어난 것이다. 공시지가 상승률은 3.5%로 세금 증가분이 공시지가 상승률보다 1.2%포인트 높다.

서울 마포구 연남동 소재 1612㎡(약 488평) 토지의 경우 공시지가가 지난해 64억3188만원에서 올해 75억8252만원으로 18.05% 뛰었다.

공시가격 80억원 이하 토지는 종합부동산세가 과세되지 않으므로 재산세만 부과되는데, 재산세는 1680만9000원에서 2005만9000원으로 19.33% 늘어난다. 개별공시지가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전국 시·군·구에서 감정평가사 검증과 자체 심의를 거쳐 결정된다.

토지 소유주는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와 관할 시·군·구 민원실을 통해 이달 31일부터 다음달 29일까지 열람할 수 있고 이의가 있는 사람은 시·군·구에 비치된 이의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 이의 신청이 타당하다고 인정될 때는 조정된 결과가 다시 공시된다.

[정순우 기자]



출처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362194



 
   
 



상호 : 대박 공인중개사 사무소  주소 : 경상북도 상주시 상서문 2길 21 (구주소 : 경상북도 상주시 낙양동 134) (위치 : 5주공 후문, 오아시스 목욕탕 앞)  사업자등록번호 : 160-50-00059  부동산등록번호 : 47250-2015-00003 
대표 : 박언영  개인정보관리자 : 박언영  이메일 : jong7844@daum.net 
대표전화 : 054-533-2269    휴대전화 : 010-4085-7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