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금리역전 '눈앞'…韓銀, 인상시기 앞당기나
◆ 美금리 인상 파장 ◆
15일(한국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한국은행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국내 경기만 보면 당장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인상할 필요성은 크지 않다. 하지만 양국 간 '금리 역전'이 코앞으로 다가온 데다 미국이 연내 준비자산 축소 이슈까지 시사하면서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은은 이미 이주열 한은 총재의 입을 빌려 3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지난 12일 한은 창립 67주년 기념사에서 "경제 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되면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향후 기준금리 운용에 있어 신축적인 자세를 취할 여지를 마련한 셈이다. 금융통화위원회 내부에서도 추가경정예산 등 새 정부의 확장적인 재정정책에 비춰 한은도 금리 인상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분위기가 자리 잡았다.
하지만 새 정부와 엇박자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한은은 신중한 모습을 견지하고 있다. 실제 이 총재는 이튿날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회동한 직후 "긴축이라는 표현은 맞지 않는다"며 "지금 우리가 긴축을 하겠다는 상황이 아니다"고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여기에다 136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와 부동산시장 과열 등 대내적 위험 요인도 금리 인상을 가로막는 요소다. 가뜩이나 국내 시중금리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한은 기준금리마저 인상되면 가계 이자 부담이 증폭되고 부동산시장 등 경제 활력도 한층 약해질 것이란 분석이다.
한은 내부적으로는 이번 미국의 금리 인상보다 하반기에 닥칠 양국 간 금리 역전과 4조5000억달러에 달하는 미 연준의 준비자산 축소 이슈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 6월 금리 인상이 일찌감치 예견된 일인 데다 국내 성장 흐름과 기업 실적 등이 개선되는 상황에서 당장 한국 경제를 위협할 만한 자본 유출은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는 시각이다. 큰 충격이 없다면 당분간 환매조건부채권(RP) 매각 등 단기 시장 안정화 조치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양국 금리 역전이 본격화하면 외환시장이 불안해지면서 대규모 자금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갑작스럽게 달러당 원화값이 급락하면 환손실을 입은 국내 외국인 투자자들의 이탈이 가속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준비자산 축소는 연준이 본격적인 '돈줄 죄기'에 나섰다는 의미로 금리 인상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다. 이 총재도 최근 금리 인상보다 연준 자산 축소에 따른 시장 충격이 더 클 수 있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미국이 기존 예상과 달리 연내 1회 이상 금리를 인상하거나 보유자산 축소를 서두르면 한국은행도 연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는다. 한편 미 기준금리 인상 소식에도 불구하고 국고채 금리는 3년물을 제외하고 전 구간에서 하락세를 기록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날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001%포인트 오른 1.682%, 5년물 금리는 0.019%포인트 내린 1.852%를 기록했다. 장기물인 10년물 금리는 0.047%포인트 하락한 2.123%를 기록했고 20년물과 30년물은 각각 0.058%포인트, 0.063%포인트 떨어졌다.
출처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402532